티스토리 뷰
목차
농식품수출지원금은 ‘해외 전시회 한 번 다녀오는 비용’이 아니라, 제품·포장·물류·규제 대응까지 전 과정에서의 실패 가능성을 낮추는 안전망입니다. 특히 호주·뉴질랜드 시장은 거친 자연과 까다로운 검역·표시제도가 공존해, 준비 없이 진입하면 반송·폐기 등 고비용 리스크가 현실화되기 쉽습니다. 반대로 제도에 맞춘 설계와 단계적 시장 검증을 병행하면,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이 두 나라에서 장기 거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호주뉴질랜드정책구성의 핵심(검역·표시·리콜 체계)을 비교하고, 농식품수출지원금으로 무엇을 우선 지원받아야 성과가 나는지, 그리고 참여방식(컨소시엄·개별·대행)의 장단점을 실제 실행 흐름대로 정리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통관 단계에서 자주 막히는 포인트(성분증빙·원산지·냉장/냉동 체인·라벨 샘플 승인 등)를 체크리스트 형태로 풀어 실무자가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농식품수출지원금과 호주뉴질랜드 클린라벨
호주와 뉴질랜드는 생활 수준이 높고 친환경·클린라벨 선호가 강해 한국 농식품의 맛·안전성·스토리텔링이 맞아떨어지기 쉬운 시장입니다. 동시에 두 나라는 검역·표시·리콜 체계를 촘촘히 운영합니다. 호주는 농림수산환경부(DAFF)가 검역·수입조건을,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FSANZ)가 식품기준(Code)을 관할하며, 뉴질랜드는 1차 산업부(MPI)와 FSANZ의 공통 코드를 함께 적용합니다. 이 구조를 이해해야 농식품수출지원금 집행 항목을 현명하게 배분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브랜드 광고’보다 선행해야 할 것은 성분·원료의 안전성 증빙, 알러젠·영양성분 표시 설계, 바코드(GTIN)·로트추적(SSCC) 체계 구축입니다. 한 단계 더 들어가면, 호주 의무 원산지표시(CoOL), 뉴질랜드 수입 신고(Entry)와 검역승인(IVS), 보관 창고(Licensed Facility) 요구사항 등 ‘라벨과 통관이 맞물리는 지점’을 먼저 해결해야 합니다. 농식품수출지원금은 이러한 병목을 뚫는 실험비이자 안전판입니다. 첫째, 제도 적합성(성분·표시) 사전 진단에 투입합니다. 현지 규정 준수 라벨 샘플을 만들어 소량 파일럿을 돌리고, 피드백을 받아 2차 생산에 반영합니다. 둘째, 유통 채널 테스트를 병행합니다. 한인마켓 의존을 넘어서 현지 그로서리(Coles, Woolworths), 뉴질랜드 전국망(PAK’nSAVE, New World)과 연결된 수입상에 ‘카테고리 핏’ 자료를 제출하려면 카테고리별 가격밴드·진열폭 자료가 필요합니다. 셋째, 물류·검역 리스크를 줄입니다. 냉장·냉동 체인(reefers) 설정, 선적 전 온도 로거 배치, BMSB(갈색 큰 노린재) 위험 시즌의 컨테이너 조치 등은 소량 파일럿 때부터 루틴화해야 합니다. 정책구성의 차이를 이해하고 지원금을 전처리(규정준수)→시장검증(리테일 테스트)→확대(리패킹·리테일 판촉) 순서로 쓰면 실패비용이 급감합니다.
참여방식 심화: 컨소시엄·개별·대행의 실제 운용
참여방식은 보통 세 가지 축으로 나뉩니다. 컨소시엄, 개별, 전문 대행입니다. 컨소시엄은 품목·원산지 스토리가 유사한 기업들이 모여 공동 브랜딩과 물류를 묶는 방식으로, 물류 단가를 낮추고 바이어 미팅 수를 늘리는 데 유리합니다. 다만 라벨·가격·품질관리 기준을 하나로 정렬해야 하므로 내부 조율 시간이 필요합니다. 개별 참여는 의사결정이 빠르고 세부 전략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지만, 물류·마케팅 단가가 높아지기 쉽습니다. 전문 대행(현지 컨설턴트·수입사 에이전트)은 인증·라벨링·통관 실수를 줄이지만 수수료·성과형 비용을 감안한 손익 설계가 필수입니다. 농식품수출지원금은 이 세 가지 방식 어디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기업의 제품 사이클과 인력여건에 맞춰 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행 단계에서는 ‘사전 요건→라벨 적합→바이어 검증→선적→사후 데이터’의 5스텝으로 끊어 진행하십시오. 사전 요건에서는 원료 COA, 제조공정서(HACCP·GMP), 알러젠·첨가물 사용 근거를 정리하고, 동식물성 원료가 있는 경우 검역금지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라벨 적합 단계에서는 FSANZ Code 표기(영양성분, 알러젠 굵게 표기, 서빙 사이즈, 유통기한 표기 형식), 호주 CoOL(원산지 마크, 한국·혼합 표기), 뉴질랜드 라벨링 관행을 반영합니다. 바이어 검증은 카테고리 리뷰 문서(소비자 페인포인트·경쟁제품 비교·가격 포지셔닝·진열 이미지)를 현지 유통사 포맷에 맞춰 제출하세요. 선적 단계에서는 인코텀즈(CIF vs DDP) 선택, 보험 담보(온도 이탈·지연) 확인, 냉장·냉동 체인 유지(온도 로거 데이터)와 컨테이너 위생을 점검합니다. 사후 데이터에서는 바코드 스캔 판매, 프로모션 리딤율, 재구매·반품 사유를 모아 2차 생산에 반영합니다.
지원금 집행 항목은 ‘성과로 바로 환산되는 항목’에 우선 배분하십시오. 예를 들어 ①제품·라벨 현지 적합성 컨설팅, ②파일럿 선적 운임·창고·라벨 스티커 비용, ③현지 카테고리 테스트용 진열·샘플링, ④디지털 리테일 미디어(유통사 앱·플라이어) 등입니다. 반면 전시회 부스만 크게 만드는 지출은 판매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여방식 선택의 기준은 ‘우리의 병목이 규정인지, 접점인지, 물류인지’입니다. 규정이 병목이면 대행을, 접점(바이어)이 병목이면 컨소시엄 쇼케이스를, 물류가 병목이면 공동 선적과 3PL 협상을 지원금으로 보조하십시오. 이렇게 해야 예산 1원이 매출과 학습데이터 1단위로 돌아옵니다.
통관전략과 사후관리,운영설계
통관은 마지막 관문이 아니라 ‘첫 설계의 결과’입니다. 호주·뉴질랜드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네 가지입니다. 첫째, 라벨 불일치입니다. 한국 내수 라벨을 그대로 수출해 경고·반송이 발생합니다. 해결책은 선적 전 ‘라벨 샘플 승인’ 루틴입니다. 현지 중개인·수입상이 실제 스캔 가능한 바코드와 영양패널·알러젠 볼드·원산지 표기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십시오. 둘째, 성분 증빙 누락입니다. 특정 첨가물·허브·동물성 원료가 금지 또는 제한 대상일 수 있습니다. COA, 원료 MSDS, 제조사 확인서, 알러젠 관리계획을 묶은 ‘성분 패킷’을 준비해 중개인이 질문하기 전에 제공하면 통관 속도가 빨라집니다. 셋째, 콜드체인 이탈입니다. 냉장·냉동 제품은 선적→환적→도착→보세창고→택배까지 ‘연속 냉장’이 끊기지 않아야 하며, 온도 로거 데이터를 제출해 클레임을 줄이십시오. 넷째, 계절성 리스크입니다. BMSB 위험 시즌과 검역 강화 기간에 컨테이너 처리 지연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는 선적 스케줄을 앞당기거나 항만 혼잡이 덜한 루트를 선택하세요. 사후관리에서는 리콜·불만 대응 체계를 미리 문서화하십시오. 로트 추적표, 판매처·수량·유통기한, 회수 연락체계를 ‘24시간 내 가동’할 수 있어야 대형 거래처와의 신뢰를 지킵니다. 또한 데이터 루프를 만드세요. POS 판매·리딤율·반품 사유·후기 키워드를 월 단위로 수집해 제품 개선과 마케팅에 반영합니다. 지원금이 종료된 뒤에도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만들려면, ①현지 수입사와의 공동 판촉 펀드(JMF) 설정, ②현지 3PL 장기 계약을 통한 운임 안정화, ③리테일 미디어와 샘플링을 연결한 ‘신제품 분기 루틴’을 만들어 매 분기 한 품목씩 출시·테스트하는 운영을 권합니다. 마지막으로 호주뉴질랜드정책구성의 변화(표시·검역·원산지 규정)를 분기별로 점검해 라벨과 문서를 업데이트하십시오. 통관전략은 체크리스트의 축적이며, 농식품수출지원금은 그 체크리스트를 만들고 다듬는 데 쓰일 때 비로소 매출과 신뢰로 돌아옵니다.